본문 바로가기

공모주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공모주 청약 퀄리타스반도체 소개 퀄리타스반도체는 인공지능, 모바일, 자율주행, 디스플레이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인 ‘초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초고속 인터커넥트 회로 설계 기술과 초미세 반도체 공정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보유하고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및 디자인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미세 반도체 공정에서 신뢰성 높은 Design Methodology 확보를 통해 최첨단 반도체 공정에서의 개발 및 양산 이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퀄리타스반도체 홈페이지 기업소개 발췌 - https://www.q-semi.com/kor/ 퀄리타스반도체 www.q-semi.com 청약자 유형군별 공모대상 주식수 일반청약자에게 450,000주 배정되었습니다. 균등배정 225,00.. 더보기
공모주 신성에스티 기업공개 신성에스티 무슨 회사일까? 2004년 PRESS 부품 제조기업으로 창립된 신성ST㈜는 초기 IT 소형정밀제품을 시작으로 현재 자동차 엔진용 부품, 2차전지 배터리 핵심부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신성에스티 홈페이지 발췌 - 신성에스티 수익성 공모주 신청가능 증권사 미래에셋 공모주 신청일 2023년 10월 10일 2023년 10월 11일 일반청약자 청약 물량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은 500,000주입니다. 균등배정 250,000주 비례배정 250,000주 수요예측 경쟁률 기관경쟁률 583.5 : 1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상단초과 참여건수 비율 91.61% 상단초과 신청수량 비율 87.46% 청약 합니다 저의 청약 기준은 간단합니다. 경쟁률과 신청가격이 상.. 더보기
공모주 청약 후 몇 주를 배정받을 수 있을까? (균등배정, 비례배정) 소개 공모주는 경쟁률에 따라 배정여부가 결정되었습니다. 경쟁률에 따라서 받을 수도 있고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경쟁률은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증권사마다 청약가능한 주식수가 다르고 청약하는 고객의 수도 다르기 때문이죠. 그래서 여러 증권사의 계좌를 가지고 있는 분이라면 청약 마지막날에 가장 유리한 곳을 선택해서 청약을 하기도 합니다. 청약신청이 끝나면 대략적인 최종 경쟁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쟁률을 토대로 몇 주를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은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으로 주식이 배정됩니다.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으로 공모주 몇 주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증권사 경쟁률 제공 자료 저는 NH투자증권을 통해 아래 공모주를 청약했습니다. NH투자증권에서 제공하는 공모.. 더보기
2023년 8월 IPO 신규상장 종목(회사)의 공모가, 최고가, 최저가 정리 소개 2023년 8월에 신규상장된 회사들의 상장 이후 어떠한 횡보를 보였을까요? 신규상장된 주식의 최고가, 최저가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9월 20일 기준, 공모주식 모두 청약을 성공했다면 과연 얼마의 수익을 낼 수 있었을까요? ※ 이전상장, 스펙, 코넥스 상장은 제외 8월에 상장된 회사 시지트로닉스, 엠아큐브솔루션, 파두,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코츠테크놀로지, 넥스틸,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시큐레터 8월 상장회사 공모가 최고가 최저가 공모가 투자 대비 최고가 수익률은 약 130%, 최저가 수익률은 약 17%입니다. 9월 20일 현재 넥스틸과 시지트로닉스를 제외하고는 자료 수집 당시 9월 20일에는 모두 우수한 수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모가 투자금 대비 약 75% 수익률 거두었습니다. 넥스틸의 공모.. 더보기
2023년 6월 26일부터 변경된 신규 상장 주식 가격제한폭 소개 2023년 6월 26일 부터 신규 상장 주식의 가격제한폭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기존과 변경 후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가격제한 기존에는 공모가 대비 최대 200% 가격에서 시가가 형성된 후 상한가(30%)와 하한가(-30%)가 결정되는 구조였습니다. 공모가 대비 200% 상승 후 상한가를 찍는 경우를 따상이라는 은어가 사용되었습니다. 최대변동폭은 공모가 대비 63~260%입니다. 변경 후 가격제한 2023년 6월 26일부터 신규상장주식은 가격제한폭을 60%에서 최대 400%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를 적용받더라도 신규상장일 주식의 가격제한폭으로 인해 60%에서 400%내에서 결정됩니다. 가격제한폭 확대 이유와 의견 ▶ 시가기준가 방식을 적용하던 신규상장종목(주권, DR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