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한국 현대사의 어두운 그림자, 삼청교육대


삼청교육대의 진실 로고


1980년 5월 17일, 전두환 신군부가 계엄령을 선포하고 집권한 직후, 사회악을 일소하고 사회를 정화한다는 명분으로 설치한 군대식 정치범 수용소가 있었습니다. 바로 삼청교육대입니다.



삼청교육대는 1980년 8월 1일부터 1981년 1월 25일까지 총 6만 755명이 법원의 영장 발부 없이 체포되어 그 중 순화교육 대상자로 분류된 3만 9,742명이 군부대 내에서 삼청교육을 받았습니다.


삼청교육대에 끌려온 시민들
삼청교육대에 끌려온 시민들


📖 삼청교육대의 교육


삼청교육대의 교육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졌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초기 교육으로, 교육대상자들의 신상 파악과 교육의 필요성을 주입하기 위한 목적을 가졌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본격 교육으로, 교육대상자들에게 강압적인 군대식 훈련과 정신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사회복귀 교육으로, 교육대상자들이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과 생활지도를 실시했습니다.


삼청교육대의 교육
삼청교육대의 교육


삼청교육대의 교육과정은 매우 혹독하고 폭력적이었습니다. 교육대상자들은 하루에 12시간 이상 노동을 강요받았고, 가혹행위폭행, 고문까지 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삼청교육대 가혹행위
삼청교육대의 폭행, 가혹행위


이러한 인권 침해로 인해 삼청교육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어두운 역사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삼청교육대 정신교육
삼청교육대 정신교육


🤕 삼청교육대의 피해자


삼청교육대의 피해자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부류는 범죄자입니다. 삼청교육대는 구 전과자, 폭력배, 마약사범 등을 대상으로 설립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삼청교육의 당연한 대상이었습니다.

 

두 번째 부류는 무고한 시민입니다. 삼청교육대는 영장 없이 무차별적으로 시민들을 체포했기 때문에, 많은 무고한 시민들이 삼청교육을 받았습니다.


삼청교육대 출소식
삼청교육대 출소식


💥 삼청교육대에 끌려간 이유


🔸 머리 길다고 잡혀간 시민

🔸 침 뱉았다고 잡혀간 시민

🔸 무직이라서 잡혀간 시민

🔸 중학생부터 70대 노인까지 끌려가

🔸 조폭
🔸 동네양아치
🔸 윤락여성
🔸 가출청소년
🔸 정부에 불만을 가진 자
🔸 일정한 직업이 없는 백수
🔸 노총각

그리고 각 지역마다 할당량을 정해주었기 때문에 삼청교육대 관련 인사들이 무작위 또는 개인적으로 악감정있는 사람들까지 모두 끌려갔다고 전해집니다.


삼청교육대 홍보 영상


삼청교육대의 피해자들은 교육을 받은 후에도 정신적, 육체적 후유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한, 삼청교육대는 한국 사회에 공포와 불안감을 조성하여 민주화의 진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죽음의 삼청교육대 영상


88년 국방부 공식 발표한 삼청교육대 피해 사례입니다.

 

🔹 교육 중 사망자 52명

 

🔹 후유증 사망자 397명

 

🔹 후유증 환자 2768명


삼청교육대의 진실

 


💥 삼청교육대의 생활수칙과 식사구호


1. 선동 및 도망치는 자, 반항자는 사살한다.


2. 수련생은 교육대 요원 명령에 절대 복종한다.


3. 음주 및 흡연은 금한다.


4. 신문, 잡지 구독 및 라디오, 티브이 시청을 금한다.


5. 허가되지 않은 면회, 외출이나 외인(외부인) 접촉을 금한다.


6. 동료간의 장난행위 및 시비, 기간 장병에 대한 반항자는 엄단한다.


7. 집단 행위를 금한다.


▪ 일하기 싫으면 먹지도 말자!


알맞게 먹고 헛되게 버리지 말자!


돼지보다 못하면 돼지고기를 먹지 말고, 소보다 못하면 소고기를 먹지 말자!


시키면 시키는대로 한다!


때리면 때리는대로 맞는다!


주면 주는대로 먹는다!


🚩 삼청교육대 위치


삼청교육대는 국내 지역별 군부대에서 시행되었습니다.

 

➡ 수도권: 21사단, 3사단, 12사단, 17사단, 수도경비사령부

충청권: 32사단, 27사단, 28사단

전라권: 31사단, 11사단, 20사단

경상권: 30사단, 7사단, 102특공여단


삼청교육대는 한국 현대사의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삼청교육대의 역사를 통해 우리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러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성을 느낍니다.